facebook  Twitter 
9,377,745
안전관리업무관련 참고자료

통전전류 (通電電流, sending an electronic flow of electronic)

페이지 정보

작성자 세이프넷 작성일20-12-11 08:45 조회7,158회 댓글0건

본문

인체는 금속체와 같은 양도체로서 전류를 잘 통하며 전격 또는 감전 등으로 인체에 전류가 흐르게 되는데 이 전류를 통전전류라고 한다. 아주 작은 전류에는 아무런 느낌이 없으나 전류가 커지게 되면 통전전류의 크기 시간의 크기에 따라 전격을 느끼게 되고 더 커지게 되면 고통과 함께 화상을 입거나 근육수축이 일어나게 된다. 이 값이 더욱 증가하게 되면 호흡의 정지, 질식, 또는 심실세동 등이 일어나게 되어 아주 위험하게 된다.

① 최소감지전류:통전전류의 크기가 어느 한계값 이하인 경우에는 인체가 느끼지 못하고 이 값 이상이 되면 전격을 느끼게 되는데 이 전류값을 최소 감지전류라 부르며(직류에서는 2∼5 ㎃), 상용주파교류에서는 0.5∼1.0 ㎃ 정도가 된다. 영역 ② 이탈전류(고통전류):통전전류가 감지전류의 한계를 넘게 되면 점차로 고통을 느끼게 되고 이 고통을 참을 수 있으면서 생명에는 위험이 없는 한계의 전류로 교류에서 약 7∼8 ㎃ 정도가 된다. 영역 ③ 불수전류(마비한계전류):통전전류가 이탈전류의 한계를 넘게 되면 전류가 흐르는 부위의 인체는 근육이 경련현상을 일으키거나 신경이 마비되어 운동을 자유로이 할 수 없게 되므로 자력으로는 위험지역을 벗어날 수 없게 되는 전류로(직류에서는 약 60∼90 ㎃, 교류에서는 약 10∼15 ㎃) 정도이다. 영역 ④ 심실세동전류(치사전류):인체에 흐르는 전류가 일정 한계를 넘고 전류의 일부가 심장부분을 흐르게 되면 외부에서 심장에 별도의 전압이 가해져 심장계의 펄스 전압에 이상을 주어 심장제어계가 교란 또는 파괴되어 심장이 정상적인 박동을 하지 못하고 불규칙적인 세동으로 혈액의 순환이 순조롭지 못하게 된다. 이런 현상을 심실세동이라 하며, 통전전류가 차단되어도 심장박동이 자연적으로 회복되지 못하며 이 상태를 그대로 방지하여 두면 수분내로 사망하게 된다. 그러므로 감전으로 인한 사망의 대부분은 심실세동에 의한 사망사고이다. 심실세동에 관한 통전시간과 전류치의 일반적인 관계식은 다음과 같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안전관리업무관련 참고자료 목록

상세검색
안전관리업무관련 참고자료 > 목록

Total 3,050건 60 페이지
안전관리업무관련 참고자료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2165 크리프 (creep) 인기글 세이프넷 03-22 5036
2164 크롬산 아연 (zinc chromate) 인기글 세이프넷 03-19 5505
2163 크롬광 (chromite ore) 인기글 세이프넷 03-18 4487
2162 크롬과 그 무기화합물 (chromium and its inorganic compounds) 인기글 세이프넷 03-17 5024
2161 크렘프 메터 (clamp meter) 인기글 세이프넷 03-16 4550
2160 크레졸 (cresol) 인기글 세이프넷 03-15 4646
2159 크레인 하중시험 (- 荷重試驗, crane load test) 인기글 세이프넷 03-12 4927
2158 클래딩 (cladding) 인기글 세이프넷 03-11 4236
2157 클램프 (clamp) 인기글 세이프넷 03-10 4781
2156 kVA(킬로 볼트 암페어) (kilovolt ampere) 인기글 세이프넷 03-09 4733
2155 키 (key) 인기글 세이프넷 03-08 4456
2154 클립 (clip) 인기글 세이프넷 03-05 4833
2153 클린사업 (-事業, clean project) 인기글 세이프넷 03-04 4700
2152 클로로벤젠 (chlorobenzene) 인기글 세이프넷 03-03 4633
2151 킬레이트제 (chelating agent) 인기글 세이프넷 03-02 4481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