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cebook  Twitter 
9,867,075
안전작업지침-기준-메뉴얼

[안전작업지침] 고압가스안전수칙

페이지 정보

작성자 세이프넷 작성일16-10-28 09:29 조회11,224회 댓글15건

본문

고압가스관련 표준작업안전수칙입니다.

고압가스 관련업무를 하시는 분들은 업무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출처] 안전보건공단

 

 

 

1. 관리감독자는 안전수칙을 준수하도록 관리 감독할 것

2. 고압가스 제조, 저장, 취급지역에서 화기를 취급하거나 화기, 인화성물질을 휴대하고 들어갈 때에는 작업허가서를

     발행할 것

3. 가연성가스 또는 가스설비 부근에는 연소하기 쉬운 물질을 두지 말 것

4.  고압가스 누출을 목격한 사람은 관할 운전부서에 누출사실을 신속히 알릴 것

5.  가연성가스, 독성가스 또는 질식성가스가 체류할 우려가 있는 장소에서 작업할 때에는 가스검지기로 수시 측정하여

      폭발, 중독 또는 질식우려가 없는지를 확인할 것

6. 화기취급 장소, 인화성물질이 있는 장소 및 그 부근에서는 가연성가스를 취급하는 작업을 하지 말 것

7. 가스충전시 가스설비 주변의 보기 쉬운 장소에 경계표시를 설치할 것

8.  가연성가스 설비를 수리 또는 청소할 때에는 미리 내부가스를 대기압이 될 때가지 안전하게 방출한 후 잔류가스를 질소,

    물 또는 스팀 등 당해 가스와 반응하지 않는 가스 또는 액체로 치환하고 가스검지기로 측정하여 잔류가스가 없음을 확인할 것

9. 탱크롤리차량에 충전작업시 차량이 고정되도록 그 차량에 차량 정지목을 설치하는 등 그 차량을 고정할 것

10. 차량에 고정된 탱크 및 충전에 사용하는 배관은 충전하기 전에접속선으로 접지할 것

11. 고압가스 충전용기에는 넘어짐 등에 의한 충격 및 밸브의 손상을 방지하는 조치를 할 것

12. 고압가스 충전용기는 항상 40이하의 온도를 유지하고 직사광선을 받지 않도록 조치할 것

 

 

< 일반작업 안전수칙 >

 

1. 가스연소기에 점화할 때에는 먼저 점화원을 제공한 후 가스를 공급하여 점화하여야 한다.

2. 고압가스 취급은 관계자 이외의 사람이 취급하거나 접근해서는 안 된다.

3. 충전용기는 40이하에 저장하여야 하며, 직사광선 또는 발열체로부터 보호되어야 한다.

4. 사용하지 않는 용기는 반드시 보호캡을 씌워서 밸브의 손상을 방지해야 한다.

5. 고압가스 용기는 소정의 용기검사를 필한 용기를 사용해야 한다.

6. LPG 또는 수소취급 지역내에서 금속, 철재공구, 자재 등을 던지거나 타격해서는 안 된다.

7. 가스용기를 도관에 연결할 때는 확실히 하여야 하며 연결 후 비눗물 검사를 하여 누설이 있을 경우 가스를 완전히 차단 후

    다시 연결하여야 한다.

8. 충전용기를 보관 또는 운반할 때에는 전도 등으로 인한 충격을 방지하기 위하여 와이어 또는 체인으로 견고하게 결속해야 한다.

9. 고압가스 저장 또는 취급장소에서 화기를 사용해서는 안 된다.

10. 전선 또는 접지선 가까이 용기를 저장해서는 안 된다.

11. 손으로 열리지 않을 정도로 굳게 잠긴 밸브를 다른 공구로 무리하게 열려고 해서는 안된다.

12. 밸브가 고장난 용기를 취급해서는 안 된다.

13. ·하차작업을 할 때는 고무판 등을 사용하여 충격을 최소한으로 방지하여야 한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안전작업지침-기준-메뉴얼 목록

상세검색
Total 3,298건 1 페이지
안전작업지침-기준-메뉴얼 목록
고용노동부에서 만든 미세먼지 지침서입니다 
세이프넷 03-19 3859
1. 산소결핍의 위험성이 있는 작업공간이 있습니까?2. 작업 전 유해가스는 측정되고 있습니까?​3.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작업관리는 잘 되고 있습니까?4. 작업 전 혹은 작업 중에 환기는 충분히 되
세이프넷 12-29 15903
1. 현장안전의 확인  현장의 안전을 확인하는 것은 어떠한 응급상황에서도 가장 중요한 첫 번째 단계이다. 심정지 환자를 발견하였을 경우에 모든 구조자는 현장이 안전한지를 확인한 후 구조를 시작하여
세이프넷 12-29 12792
 1. 호흡용보호구(공기호흡기, 송기마스크)   밀폐공간 작업 시에는 환기를 시켜 적정 공기 상태로 유지하여야 하나 환기를 할 수 없거나 환기만으로 불충분한 경우 호흡용 보호구를 반드시 착용하고
세이프넷 12-29 21688
 환기의 필요성 및 환기 일반 원리   ① 밀폐공간에서는 유해가스를 제거하고 적절한 산소농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작업시작 전에 환기를 실시하여야 한다.② 지속적으로 유해가스가 발생되는 경우에는 계
세이프넷 12-29 13130
 1. 유해공기의 판정기준   유해공기의 측정 후 판정기준은 각각의 측정 위치에서 측정된 최고농도로 적용하여야 한다.     2. 유해공기의 정확한 농도측정을 위한 필수조건   ①
세이프넷 12-29 21016
  1. 밀폐공간 보건작업 프로그램 수립·시행   사업주는 밀폐공간에서 작업을 하는 경우에 다음의 내용이 포함된 밀폐공간 보건작업 프로그램을 수립하여 시행하여야 한다   ① 작업시작 전 공기
세이프넷 12-29 17512
[밀폐공간 질식재해 원인과 장소-3] 기타 원인에 의한 질식재해발생     1. 각종 탱크나 밀폐된 방   [발생장소] 냉장실, 냉동실, 항온실, 탱크, 보일러, 압력용기, 반응탑 등
세이프넷 12-28 8594
[밀폐공간 질식재해 원인과 장소-2] 미생물의 호흡작용에 의한 공기중 산소소모로 재해발생     1. 미생물의 증식   미생물의 산소 소비량을 비교하여 보면 생체 1kg(수분 제외)이
세이프넷 12-28 10973
[밀폐공간 질식재해 원인과 장소-1] 물질의 산화작용에 의한 공기중 산소소모로 재해발생       1. 저장용탱크 등 소재의 산화   철재 탱크 내에 물기가 있거나 장기간 밀폐되면
세이프넷 12-28 7968
용접이란 2개 또는 그 이상의 물체나 재료를 열 에너지 또는 기계적 에너지를 이용하여 접합하는 것을말하며 다양한 부재의 절단, 접합, 제작이 가능하여 산업현장에서 광범위하게 적용되고 있지만 아래와같
세이프넷 12-27 14955
[용접용단 작업시 발생되는 비산불티의 특성] - 용접․용단 작업 시 수천 개의 불티가 발생하고 비산- 비산불티는 풍향, 풍속에 따라 비산거리가 달라짐- 용접 비산불티는 1,600℃ 이상의 고온체-
세이프넷 12-15 9155
보강토옹벽 안전점검 시 체크리스트  ​보강토 옹벽 시공 전 확인사항 * 설계도서 및 시방서 내용 확인 * 보강토 옹벽 시공을 위한 현장여건 확인 * 보강토 옹벽 구성 재료에 대한 검토 및 사전승인 
세이프넷 12-15 11608
타워크레인 설치.해체 작업시 중요한 지휘명령체계와 관련된 내용입니다. * 작업팀원 모두 “타워크레인 설치․해체작업 안전교육” 이수 여부 확인* 작업팀원의 역할분담이 명확한지 여부   ※작업절차서 숙
세이프넷 11-29 6625
no image
체인트 등 근로자들이 도장작업을 할때 준수해야 할 작업안전수칙입니다. 참고하시고 안전한 작업하세요  1. 작업장 내 국소배기장치, 전체환기장치를 점검하고 가동 후 작업에 임해야 합니다. 2. 작업장
세이프넷 11-02 11016
게시물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