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cebook  Twitter 
9,866,907
안전작업지침-기준-메뉴얼

공산품의 석면안전기준 [기술표준원고시 제2009-981호] 2009.12.30 제정

페이지 정보

작성자 세이프넷 작성일16-07-15 07:15 조회1,921회 댓글0건

첨부파일

본문

 

1. 목 적 이 기준은 유해화학물질 관리법 제32, 산업안전보건법 제37조 등을 고려하여 품질 경영 및 공산품안전관리법(이하 품공법이라 한다)에 의한 공산품에 대하여 석면 함유를 제한하기 위하여 제정되었다.  

 

2. 적용 범위 이 기준은 석면의 안전요건, 함유량 시험·검사방법 등에 대하여 규정한다. 안전인증대상공산품, 자율안전확인대상공산품, 안전·품질표시대상공산품 및 어린이보호포장 대상공산품의 경우 당해 공산품의 안전기준 또는 안전·품질표시기준의 일부를 구성하며, 이외의 공산품의 경우 당해 공산품에 대한 석면 함유 위해성 확인의 기준으로 준용한다.

 

 

3. 관련 표준 다음에 나타내는 표준은 이 기준에 인용됨으로써 이 기준의 규정 일부를 구성한다. 이러한 관련 표준은 그 최신판을 적용한다.

 

KS A ISO 5725 측정 방법 및 측정 결과의 정확도

ISO 10312 Ambient air - Determination of asbestos fibres - Direct transfer transemissions electron microscopy method

ISO 13794 Ambient air - Determination of asbestos fibres - Indirect transfer transemissions electron microscopy method

ISO 10397 Stationary source emissions - Determination of asbestos plant emissions - Method by fibres count measurement

KS K 0304 석면 섬유의 감별 방법

KS Q ISO IEC 17025 시험기관 및 교정기관의 자격에 대한 일반요구사항

EPA 600/R-93/116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Asbestos in Bulk Building Materials

EPA 600/M4-82-020 Interim for the Determination in Bulk Insulation Samples

JIS A 1481 Determination of Asbestos in Building Material Products

 

4. 용어의 정의

 

4.1최대 허용 함유농도(MCV, Maximum Allowable Concentration Value, 관리 허용치)

제품 및 구성 물질에 의도적으로 사용하지 아니한 것으로 석면시험 분석장비의 측정오차와 자연 상태에 존재하는 불순물 또는 현재 정제 기술 및 제조 기술의 한계로 불가피하게 함유될 수밖에 없는 불순물을 고려한 부품 구성 물질 내의 유해물질의 최대 허용량을 의미하며 국제환경법규나 지역, 국가 등에서 결정된 제한치를 반영하여 결정된 것으로 함유량 (%)으로 산출한다.

 

4.2 함 유 (contained)

제품에 사용되는 부품이나 구성 물질에 의도적이거나 비의도적임을 구분하지 않고 특성변화를 주기 위한 목적이나 작업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공정 전, 후 및 공정 중에 추가(added), 혼합(blended with), 채워 넣기(fill up) 또는 부착(adhere to)하는 작업 모두를 의미한다.

 

4.3 불순물 (Impurities)

자연 상태의 물질(natural material)의 정제 과정상에서 기술적으로 완전히 제거할 수 없거나 불가능한 물질 혹은 합성과정에서 발생하는 현재 기술능력으로 완전한 제거가 불가능한 물질을 말한다.

 

4.4. 적용 예외

현재의 기술수준으로는 다른 물질로 대체나 개선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되어 일정량의 석면을 의도적으로 사용함을 허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4.5 석면 (Asbestos)

 

4.5.1 석면의 종류 "석면이라 함은 다음 표 1과 같이 6가지 물질을 말한다.

.

.

.

 

 

고시의 전체내용은 첨부된 한글파일을 다운받으세요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안전작업지침-기준-메뉴얼 목록

상세검색
Total 3,298건 1 페이지
안전작업지침-기준-메뉴얼 목록
고용노동부에서 만든 미세먼지 지침서입니다 
세이프넷 03-19 3859
1. 산소결핍의 위험성이 있는 작업공간이 있습니까?2. 작업 전 유해가스는 측정되고 있습니까?​3.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작업관리는 잘 되고 있습니까?4. 작업 전 혹은 작업 중에 환기는 충분히 되
세이프넷 12-29 15903
1. 현장안전의 확인  현장의 안전을 확인하는 것은 어떠한 응급상황에서도 가장 중요한 첫 번째 단계이다. 심정지 환자를 발견하였을 경우에 모든 구조자는 현장이 안전한지를 확인한 후 구조를 시작하여
세이프넷 12-29 12792
 1. 호흡용보호구(공기호흡기, 송기마스크)   밀폐공간 작업 시에는 환기를 시켜 적정 공기 상태로 유지하여야 하나 환기를 할 수 없거나 환기만으로 불충분한 경우 호흡용 보호구를 반드시 착용하고
세이프넷 12-29 21688
 환기의 필요성 및 환기 일반 원리   ① 밀폐공간에서는 유해가스를 제거하고 적절한 산소농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작업시작 전에 환기를 실시하여야 한다.② 지속적으로 유해가스가 발생되는 경우에는 계
세이프넷 12-29 13129
 1. 유해공기의 판정기준   유해공기의 측정 후 판정기준은 각각의 측정 위치에서 측정된 최고농도로 적용하여야 한다.     2. 유해공기의 정확한 농도측정을 위한 필수조건   ①
세이프넷 12-29 21015
  1. 밀폐공간 보건작업 프로그램 수립·시행   사업주는 밀폐공간에서 작업을 하는 경우에 다음의 내용이 포함된 밀폐공간 보건작업 프로그램을 수립하여 시행하여야 한다   ① 작업시작 전 공기
세이프넷 12-29 17511
[밀폐공간 질식재해 원인과 장소-3] 기타 원인에 의한 질식재해발생     1. 각종 탱크나 밀폐된 방   [발생장소] 냉장실, 냉동실, 항온실, 탱크, 보일러, 압력용기, 반응탑 등
세이프넷 12-28 8593
[밀폐공간 질식재해 원인과 장소-2] 미생물의 호흡작용에 의한 공기중 산소소모로 재해발생     1. 미생물의 증식   미생물의 산소 소비량을 비교하여 보면 생체 1kg(수분 제외)이
세이프넷 12-28 10972
[밀폐공간 질식재해 원인과 장소-1] 물질의 산화작용에 의한 공기중 산소소모로 재해발생       1. 저장용탱크 등 소재의 산화   철재 탱크 내에 물기가 있거나 장기간 밀폐되면
세이프넷 12-28 7967
용접이란 2개 또는 그 이상의 물체나 재료를 열 에너지 또는 기계적 에너지를 이용하여 접합하는 것을말하며 다양한 부재의 절단, 접합, 제작이 가능하여 산업현장에서 광범위하게 적용되고 있지만 아래와같
세이프넷 12-27 14955
[용접용단 작업시 발생되는 비산불티의 특성] - 용접․용단 작업 시 수천 개의 불티가 발생하고 비산- 비산불티는 풍향, 풍속에 따라 비산거리가 달라짐- 용접 비산불티는 1,600℃ 이상의 고온체-
세이프넷 12-15 9155
보강토옹벽 안전점검 시 체크리스트  ​보강토 옹벽 시공 전 확인사항 * 설계도서 및 시방서 내용 확인 * 보강토 옹벽 시공을 위한 현장여건 확인 * 보강토 옹벽 구성 재료에 대한 검토 및 사전승인 
세이프넷 12-15 11608
타워크레인 설치.해체 작업시 중요한 지휘명령체계와 관련된 내용입니다. * 작업팀원 모두 “타워크레인 설치․해체작업 안전교육” 이수 여부 확인* 작업팀원의 역할분담이 명확한지 여부   ※작업절차서 숙
세이프넷 11-29 6625
no image
체인트 등 근로자들이 도장작업을 할때 준수해야 할 작업안전수칙입니다. 참고하시고 안전한 작업하세요  1. 작업장 내 국소배기장치, 전체환기장치를 점검하고 가동 후 작업에 임해야 합니다. 2. 작업장
세이프넷 11-02 11015
게시물 검색